Demo – SAMBA 이중화

오늘은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SAMBA를 이용한 파일서버 구성 관련 데모에 대해서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보통 파일서버를 구성할 때 하드웨어 어플라이언스나 NAS를 이용하거나 윈도우의 파일 서버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을 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 글에서 소개하는 방식은 리눅스의 SAMBA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코아랩 클러스터로 이중화를 구성하는 데모입니다.

경량의 리눅스 서버를 설치하여 디스크를 구성하고 SAMBA를 설치한 후 이중화를 하는 방식입니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하드웨어 설치
  2. 리눅스 운영체제 설치(Rocky 8)
  3. SAMBA 설치 및 구성
  4. 서버 이중화 설치
  5. 페일오버 테스트

SAMBA를 설치하는 방식은 인터넷에 다양한 사례가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라며

솔루션을 구성했을 때 GUI 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간략하게 소개하겠습니다.

우선 이중화를 구성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때는 VIP로 접속하는 건 동일합니다.

/dev/sdb1 를 로컬 복제를 하고

실제 data를 접근 가능하도록 볼륨을 마운트해줍니다.

SAMBA는 기본적으로 smb와 nmb 데몬이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고 있습니다.
(시작 유형은 이중화에서 제어하도록 수동 모드로 disable 해줍니다.)

리눅스의 useradd, smbpasswd 명령과 vi /etc/samba/smb.conf에서 전체 공유 및 각 계정 별로 공간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디스크 쿼타를 적용하여 용량 제한도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어플라이언스 및 전용 장비를 통한 쉬운 구성도 있지만 리눅스와 이중화 솔루션을 활용하여 경량 서버를 활용해 파일 서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SAMBA 서버 이중화의 데모를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저희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코아랩 드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