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아랩 클러스터란 무엇인가요?
코아랩에서 개발한 이벤트 방식(Interrupt)의 장애 감지 기법을 탑재한 국내 최초의 고가용성 솔루션 입니다.
고가용성(HA), 재해복구(DR), 단일 서버 복구(SSP) 등을 하나의 솔루션으로 고객의 IT 시스템 요구사항에 맞게
적용 가능한 솔루션입니다.
코아랩 클러스터의 제품 특장점은 무엇인가요?
기존 폴링 방식(일정 시간 간격으로 리소스의 응답을 받는 구조) 대비 장애 감지 시간이 50% 이상 빠릅니다.
OS에서 반응하는 속도와 거의 실시간으로 응답을 받기 때문에 다운타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윈도우 환경에서 MSSQL 이중화 구성 환경 기준 – 평균 페일오버 타임 10초
리눅스 환경에서 MariaDB 이중화 구성 환경 기준 – 평균 페일오버 타임 5초
직관적인 UI의 웹콘솔을 사용하여 한 화면에서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타 솔루션 대비 사용법이 매우 간단합니다.
솔루션을 유지보수 할 때 운영 중인 서비스를 내리고 삭제하고 재부팅하고 재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패치가 필요한 모듈만 교체하는 방식으로 업데이트 하므로 다운타임이 없습니다.
이벤트 방식(Interrupt)의 장애 감지 기법이란 구체적으로 뭔가요?
OS에서 운영되는 APP의 장애를 감지하는 방식에는 전통적인 폴링(Polling) 방식과
당사가 개발한 이벤트 방식이 있습니다.
폴링(Polling) 방식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감지 대상 리소스에 명령어를 보내 응답을 받는 구조로 보통 5 ~ 10초 주기로 동작하며
응답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횟수를 늘립니다. 기본 3회 정도 사용하며 그 안에 응답이 오면 정상적으로 판단하고
보통 10 ~ 30초의 임의의 대기 시간이 생기며 경우에 따라 1분 가까이 걸립니다.
이벤트(Interrupt) 방식
자체적으로 이벤트 핸들러를 탑재하여 OS에서의 리소스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인지합니다. 폴링 방식 대비
대기 시간이 줄어 빠른 장애 감지를 지원(평균 감지 속도는 5 ~ 10초)합니다.
제품의 주요 기능은?
– 감시 대상 리소스를 일정주기의 모니터링 방식(Polling)이 아닌 이벤트 기반(Interrupt)
감지 기법을 사용하여 리소스 장애처리 지원.
– 컨테이너 방식의 리소스 구현으로 사용자가 한 화면에서 제어/운영이 가능
– 리소스의 의존성을 레벨 단위로 표시
– 블록 기반의 시점복구 기능 제공
– Drag and Drop 방식의 레벨 단위 의존성 구성
– N:1, 1:N, Active-Active 등 멀티 노드 지원(미러 및 공유환경).
– 성능 모니터링(CPU, Memory)을 통해 System 사전 Hang Up 대응 가능.
– Virtual Mac, Virtual NetBios Name, Replace IP 지원.
– 웹 GUI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 이중화 노드 간 통신을 위해 하나의 단일 포트(port)를 사용.
– 반복 작업을 위한 AnyTime 스케쥴러 기능 제공(S/W 자체 내장기능).
– 장애발생 시 SMTP, 텔레그램 설정으로 알람기능 제공.
– 이중화 구성된 서버가 여러 세트일 경우 통합관제 가능하도록 별도 프로그램 제공.
– 데이터 복제의 효율을 위하여 block-level로 데이터를 복제함.
– 데이터 정합성 보장을 위하여 Split-brain 발생시 네트워크 펜싱, 스카시 펜싱 지원.
제품이 지원하는 주요 구성 방식은?
[고가용성 : HA]
1:1 로컬 복제, 1:1 공유 구성
N:1 구성(Active – Active -Standby) – 여러 업무를 A-A로 구성하고 1대의 서버를 대기서버로 묶어서 구성
여기서 A-A는 Oracle RAC와는 다른 개념임(RAC는 동일 업무를 A-A로 구성함)
[재해복구 : DR]
1:1 DR 구성 (디스크 볼륨에 대하여 원격지 재해복구 구성)
[고가용성 + 재해복구 : HA+DR]
1:1:1 HA + DR 구성
Mirror HA + DR : MDR)
Storage HA + DR : SDR)
[단일 서버 복구 : Single Server Protection]
단독 서버에 StandAlone 모드로 APP의 모니터링 및 복구 지원
1:1:1 HA+DR이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말 그대로 고가용성과 재해복구를 합친 것입니다. 일상적인 장애(시스템 장애, 네트워크 장애, 서비스 장애]와
주센터가 화재, 정전, 전쟁, 지진 등의 천재지변으로 인해 기능이 마비되었을 경우를 대비하여 각각의 HA, DR
기능을 분리된 솔루션이 아닌 하나의 솔루션에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습니다.
보통 MDR이라고 표현합니다.(Mirror + DR), 스토리지를 이용한 SDR도 있습니다.
로컬의 HA는 평상 시 서로 간에 고가용성 클러스터로 기능을 하며 기능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
별도의 DR 선언을 통해 백업 센터인 DR 서버에서 서비스를 구동하는 것입니다.
이 때는 재난 상황이기 때문에 DR 센터에서 별도의 사전 작업(네트워크 및 DNS 등)을 거친 후 최대 4시간 이내에
서비스를 재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HA는 특이사항이 없으면 A-S 간에 1분 이내에 서비스가 재개되어 비지니스 연속성을 제공하고
DR의 경우에는 좀 더 복잡하여 4시간 이내에 서비스를 재개하도록 지원합니다.
단, 평상 시 데이터의 정합성은 실시간으로 보장되며 HA 서버 간 복제 네트워크는 최소 1Gbps 이상
DR 서버는 최소 대역폭으로 100Mbps 이상을 권장합니다.
제품의 유지보수는 어떻게 하나요?
소프트웨어의 특성 상 버그나 패치가 필요할 경우 바이너리 교체 방식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무중단으로 제품의 패치가 가능합니다.
서버 이중화 솔루션의 패치로 인한 다운타임은 없습니다.
구성 방식에 따른 라이선스 수량은 어떻게 구매해야 하나요??
1 License – Single Server Protection (1 Node)
2 License – HA or DR (2 Node)
3 License – HA+DR (3 Node)
그 외 상세한 사항은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제품 구매를 위한 방법은?
영업 문의(총판사)
(주)비준 최순호 대표이사 : 010-9513-1292 , Sales1@bjune.co.kr
기술 문의
(주)코아랩 이훈 팀장 : 010-2512-2527, Support@corelab.cc